Theme > Zoom In - 중앙대병원
중앙대병원
어버이날 앞두고
노모에 ‘새 삶’ 선물한 아들
중앙대의료원 간이식 100례 달성
"100번째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하게 된 환자분께서
앞으로도 100세 넘게 건강하게 장수하시길 바랍니다."
100번째 주인공은 75세 모친에 간 공여한 54세 아들
"아무 걱정하지 마시고
건강해질 수 있으니 힘내세요!"
어버이날을 앞두고 54세 아들이 75세 어머니에게 간 공여 이식 수술을 통해 건강한 새 삶을 선물했다는 따듯한 소식이 전해졌다. 중앙대병원은 지난 4월 15일 모자간의 생체 간이식 수술로 중앙대의료원의 100번째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이식 수술은 복수를 동반한 말기간질환 및 간세포암으로 투병 중이던 75세 여성 문 씨에게 54세 아들이 자신의 간을 공여하며 이뤄지게 됐으며, 수술 후 컨디션을 회복한 두 모자는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문 씨는 2015년 11월부터 대사기능장애 관련 지방 간질환(MASLD)에 의한 간경화 진단을 받고 병원을 다니면서 치료를 해오다 2023년 8월 간세포암이 발견되어 고주파 열치료를 받았다.
그러다 점차 간경화가 진행되어 올 2월에는 배에 복수가 차고 피를 토하는 객혈 증상까지 나타나 중앙대병원 간담췌외과 서석원 교수(장기이식센터장)는 간이식을 권유했다. 간이식이 필요하다는 소견을 들은 큰아들 오 씨는 어머니에게 자신이 간을 공여하겠다고 흔쾌히 결심했고, 주저하는 어머니에게 “아무 걱정하지 마시고 건강해질 수 있으니 힘내시라”고 응원했다.

국내에서는 뇌사자 간이식 기증이 극히 드물어 가족 중 간 공여자를 찾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들 오 씨는 검사 결과 간의 크기와 구조가 적합한 것을 확인했고 이후 수술을 진행했다. 서석원 교수의 집도로 아들 오 씨의 간 우엽을 적출한 뒤 이를 환자 문 씨에게 이식하였으며, 8시간에 걸친 수술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수술 후 아들은 빠르게 회복해 10일 만에 먼저 퇴원하고, 문 씨도 지난 5월 2일 건강한 모습으로 가족과 함께 퇴원했다. 퇴원 전 권정택 중앙대병원장과 서석원 교수를 비롯한 장기 이식센터 의료진은 병동을 방문해 모자의 회복을 축하하며 어버이날 기념 카네이션을 전달하고 기쁨을 함께 했다. 서 교수는 “기증자뿐만 아니라 고령의 수혜자까지 수술 후 합병증 없이 정상 간기능을 되찾았고 건강하게 퇴원하게 되어 감사하다”며 “어버이날을 앞두고 아드님의 선물로 중앙대의료원의 100번째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하게 된 환자분께서 앞으로도 100세 넘게 건강하게 장수하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대한민국 대표 장기이식 수술 전문의료기관으로 입지 구축
한편, 중앙대의료원은 2015년 7월 간담췌외과 서석원 교수가 처음으로 ‘생체 간이식’을 성공한 이후, 중앙대병원과 중앙대광명병원을 아우르는 장기이식센터팀을 구축해 양 병원의 장기이식 의료진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간이식뿐만 아니라 심장, 신장이식 수술을 시행해 오고 있는 가운데, 지난 4월 15일 100번째 생체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며 국내에서 손꼽히는 장기이식 수술 전문의료기관으로 입지를 구축했다.
특히, 기증자와 수혜자 간 혈액형이 다른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은 혈액형이 달라도 이식 전 골수에서 혈액형 항체 생성을 억제시켜 면역 부작용 없이 간이식을 시행할 수 있는 고난도 수술이다. 중앙대병원 서석원 교수팀은 지금까지 ‘혈액형 부적합 생체 간이식 수술’을 시행해오며 높은 치료 성공률을 보이고 있다.
중앙대병원 장기이식센터 서석원 센터장은 “우리 병원에서 간이식을 시행한 지 10년이 됐는데, 장기이식센터를 비롯하여 소화기내과, 병리과, 진단검사의학과, 영상의학과의 유기적인 협력으로 최고 수준의 장기이식 의료기관으로 입지를 구축하게 됐다”며 “장기 기증자와 이식 받는 환자의 혈액형이 같지 않더라도 수술 결과에 차이가 없고, 높은 성공률과 생존율을 보이고 있으므로 간이식 치료가 필요한 경우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생체 간 기증과 이식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