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측부터) 중앙대광명병원 순환기내과
조은정 교수와 강성수 씨
평상시 운동을 꾸준히 해 ‘뽀빠이’라고 불릴 만큼 건강을 자신하던 66세 강성수 씨는 갑자기 가슴이 답답하고 구토가 잦아졌다.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질 거라 생각했지만
증세는 나아지지 않았고 어느 순간부터는 숨쉬는 것도 힘들어졌다. 소화불량이라 생각해 찾은 소화기내과에서 맥박이 분당 8회까지 떨어진 위급한 상태라는 검사 결과를 받은
그는 바로 응급실로 이동했고 ‘심부전’을 진단받았다.
심부전은 심장의 기능적 혹은 구조적 이상으로 심실의 혈액 박출 혹은 충만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심부전은 대개 점차로 악화되며 5년 이상 생존율은 남성
35%, 여성 50%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합병증으로 여러 종류의 부정맥이나 뇌졸중이 나타날 수 있고, 급사할 수도 있는 위중한 질환이다.
강 씨는 입원 후 1차 표준치료제, 강심제 주사 및 이뇨제 주사로 치료를 시작했지만 별 차도가 없었다. 그 와중에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되면서 컨디션은 점점
나빠졌다.
간부전과 신부전이 동반되며 중환자실에 입원할 정도였다. 당시 상황에 대해 그는 “잠을 못 잘 정도로 호흡 곤란과 통증이 왔으며, 며칠간 음식도 먹지 못해 포기하고
싶은 마음도 들었다.”며 “하지만 조은정 교수님을 비롯한 중앙대광명병원 의료진들의 세심한 진료와 배려에 모든 것을 맡겨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회상했다.
현재는 중앙대광명병원에 심장이식치료시스템 및 이식치료팀이 구성되어 심장이식치료가 가능하지만 강 씨가 입원했던 2022년 12월경은 병원이 개원한지 1년이 채 안됐던
때로,
시스템을 갖춰가는 단계였다. 순환기내과 조은정 교수는 환자를 살리는 것이 우선이라는 생각에 심장 이식치료시스템 및 이식치료팀을 갖춘 더 큰 병원으로 전원하는
것을
권유했다. 그러나 강 씨는 조은정 교수와 이지연 진료지원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이 수시로 병동에 찾아와 상태를 체크하는 등 세심한 정성에 감동해 전원하지 않고 계속
치료받기로
결정했다.
강 씨는 1차 표준치료제, 강심제 주사 및 이뇨제 주사 치료제를 사용해도 별 차도가 없어 조 교수는 신약 ‘베르쿠보(vericiguat)’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2023년 5월 당시 베르쿠보는 아직 급여화가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몇몇 병원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하던 약제로, 즉시 사용하기에 복잡한 절차가 있었다. 하지만 조
교수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약제를 확보해 사용할 수 있었고 강 씨는 표준치료와 더불어 베르쿠보를 복용하며 증상과 통증이 눈에 띄게 완화되어 무사히 퇴원했다.